1) 총평
- ▪ 지난 3년간 따오기 운영에 주력했던 것과 달리, 2023년은 외부 개발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한 한해였음. 다각화된 사업탓에 역량투여가 줄어든 따오기는 여러 실험에도 불구하고 조회수는 줄어들어, 대중사업이라는 사업목표가 무색할 정도가 되었음. 대중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재검토가 필요함.
- ▪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소설펀치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2) 유튜브 채널 '따져보는 오늘의 기술 이야기 :: 따오기'
가. 현황 활동
- ▪ 2023년 제작
카테고리 편수 따오기 일반 19 리뷰 7 매뉴얼 7 기타 2 - ▪ 통계
2022 2023 총 조회수 244,682 149,703 총 시청시간 5.3천 시간 3.4천 시간 구독자 증가 519 262 추정 광고 수익 $336.51 $174.89 - ▪ 조회수 1000이상 콘텐츠
동영상 제목 조회수 1 구글 문서 폰트 매뉴얼 1,983 2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리뷰 1,292 - ▪ 2023년도에 가장 많이 조회된 동영상
동영상 제목 게시일 조회수 1 디지털 보안 가이드: 차단된 사이트 우회 접속하는 4가지 방법 2020-12-14 58,715 2 백신 프로그램들 당장 삭제해! 2022-09-05 16,779 3 디지털 보안 가이드:핸드폰 파일 복원 못하게 영구 삭제 하는 법 2020-10-16 11,173 4 컴퓨터에서 크롬 맞춤 광고 차단 및 광고 삭제하는 방법 2022-04-15 7,396 5 디지털 보안 가이드: 컴퓨터 복원 못하게 영구 삭제 하는 법 2020-12-07 5,909 6 개발자가 해석한 썸바디 리뷰 2022-12-16 5,862 7 [쇼츠]어나니머스는 왜 유명해졌을까? 2022-03-25 5,237 8 카카오택시 배차 알고리즘 공개?! 분석해봤다 2022-04-29 2,156 9 구글 문서 폰트 매뉴얼 2023-04-07 1,853 10 스마트폰에서 크롬 맞춤 광고 추적 막는 방법 2022-04-24 1,748 - ▪ 트래픽 소스
트래픽 소스 조회수 시청 시간(단위: 시간) 평균 시청 지속 시간 합계 149,703 3,446.7 00:01:31 1 YouTube 검색 91,886 1,935.5 0:01:15 2 탐색 기능 7,947 324.4 0:02:26 3 외부 11,110 329.9 0:01:46 4 재생목록 4,957 134.3 0:01:37 5 직접 입력 또는 알 수 없음 3,283 112.9 0:02:03 6 추천 동영상 2,373 141.5 0:03:34 7 채널 페이지 2,365 118.2 0:02:59 8 기타 YouTube 기능 1,358 55.0 0:02:25 9 최종 화면 647 19.3 0:01:47 10 알림 255 20.1 0:04:43
나. 평가
- ▪ 따오기 채널을 시작한지 이제 4년을 넘겼음. 출범 당시부터 진보넷은 기술을 매개로 대중과 소통해왔으나, 기술운동의 한계에 봉착한 이후 진보넷의 정보인권 콘텐츠를 매개로한 대중사업으로 전환을 모색보려는 도전이었음.
- ▪ 2023년의 따오기 기조는 '대중' 컨텐츠로서 정체성 확립이었음. 이런 기조에 따라 목표치도 매우 높게 잡았음. 구독자 1만, 영상 공개 후 일주일 내에 조회수 1000. 그러나 목표달성 컨텐츠 0. 조회수 1000이 넘은 컨텐츠는 올해 단 2개였음. 2023년에 사람들이 제일 많이 본 따오기 컨텐츠 중 2023년도에 제작된 컨텐츠는 단 한 개임. 2022년 통계와 비교해 보면 조회수, 시청시간, 구독자 수, 수익 전부 절반 수준에 그쳤음.
- ▪ 따오기는 기술에 대한 주류 담론에 대항하는 대중적 교양 콘텐츠 제공을 목표로 하였고, 일부 희소성 있는 콘텐츠들은 의미있는 대중적 반응을 이끌어내기도 했음. 지난 4년간, 기술을 매개로 한 따오기는 유튜브 내 유일무이한 채널이었다고 자부할 수 있음. 따오기가 다루는 이슈를 다루는 채널은 많이 있지만, 따오기와 같은 성격의 채널은 없었다고 할 수 있음. 그리고 이는 한국의 많은 시민단체, 인권단체 중 진보넷만 할 수 있는 영역이기도 했음.
- ▪ 하지만 통계에서 보듯이, 지속적으로 평균 조회수가 하락해왔으며, 최근에는 진보넷 활동을 지지하는 사람들의 네트워크로 구독자가 한정되어 버렸음. 또한 알고리즘 노출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져 신규 유입이 불가능에 가까워졌음. 이런 한계는 몇가지 측면으로 분석해 볼 수 있음.
- ▪ (1) 애매한 포지션
- ▫ 따오기의 정체성은 가벼운 교양 채널과 전문가 사이 애매한 포지션 위치에 있는 비평 채널이었음. 하지만 대중이 원하는 가벼움과는 거리가 있었고, 반면 몇몇 콘텐츠를 제외하고는 전문가층에게 양질의 정보를 만족스럽게 제공하는 것도 아니었음.
- ▫ 알고리즘에 의존적인 유튜브 플랫폼의 성격상, 알고리즘 노출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형식과 내용의 실험들을 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중구난방의 채널이 되어 버렸음. 차라리 정보인권이라는 주제에 집중해, 따오기는 정보인권이라는 정체성을 만드는 것에 더 집중했어야 했음.
- ▪ (2) 대중성의 실패
- ▫ 진보넷의 대중운동 역량의 한계가 다시 드러남. 다른 채널들을 참고하며 다양한 실험을 하면서도 대중적 언어로 말하기보다 내가 하고 싶은 얘기를 압축적으로 빠르게 담아내기 급급했음.
- ▫ 또한 따오기에서 다루는 주제의 범위가 매우 넓어, 활동가들의 역량만으로는 매주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기 쉽지 않았음.
- ▪ (3) 대안담론의 부재
- ▫ 늘 결말이 비슷한 콘텐츠가 양산되고 있음. 교양 콘텐츠를 내세운 만큼 대안 제시보다 안전한 비평에 머물렀던 콘텐츠를 4년 생산하다보니, 어느덧 늘 하던 이야기를 반복하고 있는 채널이 되었음.
- ▫ 물론 1년에 한 두번 진보넷 관련 대중적 이슈가 생기고, 거기에 걸맞는 좋은 콘텐츠를 생산해왔지만, 1년에 한 두 번의 성공만으로는 유튜브 채널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는 없었음.
- ▪ (4) 소결
- ▫ 대중성을 내세워 따오기 채널을 시작했으나, 결과적으로 진보넷 활동가 네트워크와 전문가층이라는 협소한 네트워크를 넘어서지 못했음.
- ▫ 이러한 한계는 투여되는 노동력 대비 재정적 측면에서 효용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함. 때문에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따오기 채널을 지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에 보다 효율적이고 진보넷이 잘할 수 있는 대중활동 방식으로 전환하여 현재의 한계를 돌파할 전략을 재구축할 필요가 있음.
3) 플랫폼 서비스
가. 소셜펀치
- ▪ 현황
2020 2021 2022 2023 후원함 개수 24 31 33 51 후원금 1억 4천 6백 1억 5천 3백 2억 2천 3억 4백 무통장입금 비율 57% 73% 70.5% 76% - ▪ 평가
- ▫ 윤석열 시대인 2022년부터 소셜펀치의 유용성이 계속 높아지는 경향이 유지되고 있음.
- ▫ 개편 작업이 계속 미뤄지다 재개됨. 2024년 상반기에 개편 완료 예정.
- ▪ 현황
구분 2020 활성 메일아이디 2021 2022 2023 1년이내 한번이라도 로그인한 메일 사용자 604명 1,252명 605명 400명 6년이내 한번이라도 로그인한 메일 사용자 423명 972명 428명 219명 3년이내 한번이라도 로그인한 메일 사용자 345명 869명 323명 114명 - ▪ 서비스는 계속 현상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용자는 급속히 줄고 있음.
- ▪ 현상유지
- ▪ 현황
구분 2020 2021 2022 2023 전체계정 440개 434개 431개 382개 회원호스팅 320개 314개 258개 204개 연체계정 28개 42개 44개 72개 - ▪ 오래된 연체 계정 상당수 정리, 회원호스팅 계정 중 연체가 오래되었지만, 해당 단체로부터 해지 요청이 안온 것 중 보관가치가 있는 것들을 보관중
- ▪ 2023년에 호스팅 장비에서 메모리 장애가 2차례 발생했음. 서버를 교체한지 5년이 넘어가고 있어, 서버 교체를 위한 전략수립이 필요함.
- ▪ 사무금융노조 단비(사무금융노조 단체협약비교사이트) 업그레이드 사업
- ▫ 사이트: https://samudb.kr
- ▫ 전체기간: 2023년 5월 12일 ~ 2023년 11월 12일 (총 6개월)
- ▪ 공공운수노조 문화예술협의회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
- ▫ 사이트: https://artdb.jinbo.net
- ▫ 전체기간: 2023년 5월 1일 ~ 2023년 12월 27일 (약 7개월)
- ▪ 공공운수노조 문화예술협의회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
- ▫ 사용내용: 김용균 재단 상근자 홈페이지 구축 및 관리 역량 구축 위한 교육지원 사업
- ▫ 대상: 김용균 재단 상근자 1인
- ▫ 전체기간: 2023년 6월 ~ 2023년 11월, 총 15회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