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사업보고
> 3. 사무국
1) 총평
- ▪ 2023년 사업기조가 “회원 조직화 및 소통을 조직 문화로 정착시키기”였음. 이러한 기조 하에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적극적인 회원 확대를 위한 사업을 수행하였음. 2022년에 비해 회원 모집의 성과는 크지 않았지만, 다양한 형식의 회원 소모임을 기획하는 등의 여러 실험들을 수행하였음. 매년 일정한 수의 회원들이 탈퇴하는 점을 고려할 때, 그 이상의 회원 확대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음.
- ▪ 관련 법의 준수와 인권의 원칙에 기반하여 사무국 내부의 운영 원칙을 체계화하고자 하고 있으며, 완벽하지 않더라도 기준을 만들고 매년 업그레이드하고자 함.
2) 2023년 총회 개최
- ▪ 1. 회의 일시 및 장소
- ▪ 2. 참석자
- ▫ 온라인 참가자: 26명
- ▫ 오프라인 참가자: 16명
- ▪ 3. 총회 내용
- ▪ (1) 서기지명: 황규만
- ▪ (2) 보고안건
- ▫ 2022년 사업보고 및 결산보고, 감사보고서 등의 보고안건이 별 이의없이 통과되었습니다.
- ▪ (3) 임원선임(안)
- ▫ 임원선임(안)이 제안과 같이 통과되었습니다.
- ▫ 재선임 임원 (임기: 2023년~2024년)
- ▪ 대표 : 오병일
- ▪ 감사 : 양희진
- ▪ 운영위원 : 권순택, 이병록, 이종회, 김도형, 김명준, 신기섭, 이성우, 이동영, 윤현식, 김정우 (2023~2024)
- ▫ 신규 운영위원: 김묘희 (변호사, 법무법인 지향)
- ▪ (4) 2023년 사업계획과 예산안
- ▫ 2023년 사업계획과 예산안도 이의없이 통과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총회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4. 회원의견
- ▫ 내부 세미나에서 N번방 영상을 보고 어떠한 논의가 있었는지에 대한 질의가 있었으며, 이에 대해 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터넷 내용규제에 대한 진보네트워크센터의 입장 변화의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토론이 있었다고 답변함.
- ▫ 운영위원을 젊은 참여자로 교체하고, 고문직을 신설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있었음.
- ▫ 인공지능으로 인한 제 문제를 다루기 위한 규제 흐름에 대한 질의와 답변이 있었음.
- ▫ 카카오 채널 개설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이 있었으나 비용 문제 때문에 힘들다는 답변이 있었음.
3) 운영위원회
- ▪ 운영위원회에서는 매월 사업 및 재정보고를 검토하고, 주요 정책 이슈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였음.
- ▪ 운영위원회 회의 경과
- ▫ 1차 운영위원회(2.1) : 2023년 총회 안건 검토
- ▫ 2차 운영위원회(4.6) :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둘러싼 논란
- ▫ 3차 운영위원회(5.10) : 인공지능 알고리즘 규제 동향
- ▫ 4차 운영위원회(6.14) :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국제 시민사회 대응 동향
- ▫ 5차 운영위원회(7.12) : 분야별 인공지능 쟁점 : 교육 분야
- ▫ 6차 운영위원회(8.16) : 분야별 인공지능 쟁점 : 저작권 분야
- ▫ 7차 운영위원회(10.26) : 활동 보고
- ▫ 8차 운영위원회(12.6) : 송년회
4) 회원 사업
가. 현황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개인회원 |
300 |
286 |
270 |
331 |
334 |
단체회원 |
248 |
239 |
231 |
201 |
197 |
회원총수 |
548 |
525 |
501 |
532 |
531 |
- ▪ 2023년 회원수 : 531명
- ▫ 개인: 해지20, 신규23
- ▫ 단체: 해지 7, 신규3
나. 회원 사업
- ▪ 2023 회원 증가 목표 : 50명 가입
- ▫ 세부 방안 :상근자별 2명. 비회원이 참여할 수 있는 오프라인 행사를 조직하여 회원으로 가입시킨다 (산행, 영화, 강연, 책모임 등등)
- ▪ 회원 행사
- ▫ 책 소모임 진행 : <노동자 없는 노동> 함께 읽기 (4.1)
- ▫ 북한산 둘레길 산행 (6.11)
- ▫ 회원과 함께 기후정의 행진 참여 (9.23)
- ▫ 긱이즈 업 영화상영회 : 서울/인천인권영화제, 쿠팡대책위와 공동주최(10.25)
- ▪ 진보네트워크센터 2022년 사업보고서 발간 및 발송
- ▪ 2023년 신규 회원 모집을 위한 웰컴키트 제작 (7.6 홍보)
- ▪ 진보넷 25주년 후원의 밤 개최 (9.15)
- ▫ 일시 및 장소 : 9월 15일(금) 6시 30분~9시, 남산 문학의 집
- ▫ 회원 가입 / 회비인상 : 10명
- ▪ 회원관리 페이지 개발(개발 중)
다. 평가
- ▪ 신규회원 50명 모집을 목표로 했으나 23명에 그쳐 목표 달성에 실패함. 2022년 적극적인 주변 회원 조직화 캠페인이 있었기 때문에 2023년에 추가적인 조직을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음. 매년 일정 수의 개인 및 단체 회원이 해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회원 모집에 더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음.
- ▪ 웹컴키트를 제작하여 회원 모집 홍보를 진행했지만 큰 효과는 없었음. 반면, 25주년 후원의밤 행사때 회원가입 시간을 두는 것에 대한 부담도 있었지만, 회원 모집 효과는 있었음. 기존의 인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조직화의 한계,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회원 모집 홍보의 한계를 고려할 때, 진보넷의 이슈와 활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회원 가입으로 조직할 수 있는 기획이 필요함. 진보넷의 정책 활동이 주로 연대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일정하게 진보넷 독자적인 대중행사를 조직할 필요가 있음.
- ▪ 회원과 비회원이 참여할 수 있는 소모임을 4차례 진행함. 책읽기, 트래킹, 영화상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회원과 대면 소통을 하면서 친밀감을 높이고 회비나 후원을 증대할 수 있었던 점은 긍정적이나, 회원 증대 효과는 미미했음. 그러나 이런 방식의 다양한 회원 행사는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함.
5) 사무국
가. 현황
- ▪ 희우 활동가가 육아휴직 후 복귀(2023.1)하였으며, 육아를 위해 단축근무 수행중.
나. 주요 활동
- ▪ 활동가 내규(2022) 개정
- ▪ 2022년 제정된 개인정보 내부관리계획의 집행
- ▪ 조직문화 점검 워크샵 수행 : 개인과 조직이 함께 성장하는 질문과대화 워크북 함께 읽고 토론함
- ▪ 다른 인권/사회운동과의 연대활동 : 인권운동 더하기, 기후변화행진, 팔레스타인 연대 시민사회 긴급행동, 체제전환운동포럼 등 참여
- ▪ 내부 백업서버 교체
다. 평가
- ▪ 2023년 사업계획으로 출판사 등록 & 이북 발행을 검토하였으나 현실적 여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추진하지 않기로 함.
- ▪ 단체의 조직구조 및 문화를 진단하고 규범을 체계화, 문서화한다는 기조에 부응하여 기존의 규범에 대한 내부합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한편, 조직문화 점검 워크샵을 통해 주요 조직 이슈에 대한 내부 소통을 강화하고자 하였음. 또한 내부 백업서버 교체 및 개인정보 내부관리계획의 집행 등을 통해 단체 규범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모범 관행으로 만들고자 시도하고 있음.
- ▪ 전체 사회운동 맥락에서 진보넷 활동의 의미를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른 인권/사회운동과의 연대 활동을 강화하고자 하였음.